

경기필름스쿨 대학교
경기영화학교연합 소속 9개 대학교(경희대, 단국대, 대진대, 동아방송대, 명지대, 서울예대, 성결대, 수원대, 용인대)에서 선정된 작품입니다.
Selected films from nine universities (Kyung Hee University, Dankook University, Daejin University,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 Myongji University, Seoul Institute of the Arts, Sungkyul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Suwon, Yong In University), the members of Gyeonggi Film School Association.
이사 Recollecting
Film School Section 1
경희대학교 Kyung Hee University
서연우 Suh Yeon Woo
2025 │ Fiction │ 14:34
9.20. Sat 13:00
9.19. - 12.31.
주영은 이삿짐을 싸던 도중 버린 줄 알았던 전 연애의 흔적을 발견한다. 옷가지, 칫솔, 사진까지 손에 잡히는 순간마다 잊었다고 믿었던 감정이 되살아난다. 상자 가득 쌓인 물건에 혼란스러워하던 그는 불현듯 어느 바닷가에 다다른다. 파도 앞에서 주영은 애써 지워온 기억과 마주하고, 밀려드는 과거를 그대로 받아들인 채 이사를 포기한다.
Ju-young is packing for a move when he finds traces of a past relationship he thought were gone: clothes, a toothbrush, old photographs. Each pulls forgotten feelings to the surface. Overwhelmed by the box piled with memories, he unexpectedly finds himself on a seaside shore. Facing the waves, he confronts the memories he tried to erase. At last, he lets them flood in and relinquishes his plan to move.
주영의 이야기를 통해, 오래된 기억의 처리에 실패하는 불완전한 모습과, 그 기억을 대하는 태도가 현실과 공명함을 보여주고자 했다. 아무리 사진을 찢고, 물건을 버려도 우리가 겪은 것들은 매 순간 여전히 다채롭고 생생하게 존재하며 과거와 현재를 잇는다. 잊히지 않고 삶의 일부로 영영 함께하는 그런 기억을 영화적 장치를 통해 표현했다.
Through this film, we portray the imperfect struggle to accept old memories and how his attitude resonates deeply with reality. No matter how many photographs are torn or belongings discarded, what we have lived through remains vivid and multifaceted, bridging past and present. These memories are never forgotten and forever continue to be part of life.
감시받는 민주 Under Surveillance
Film School Section 3
경희대학교 Kyung Hee University
배주원 Bae Ju Won
2025 │ Fiction │ 10:51
9.20. Sat 17:00
9.19. - 12.31.
“만약 감시가 일상인 사회에서 살고 있다면?”
정치, 사회문제엔 무관심한 대학생 민주, 단순히 놓고 온 노트북을 찾기 위해 아무 생각 없이 학생회실로 들어간다. 같은 시각, 학생회를 감시 중인 경찰 석우는 지시를 받는다 — “3분 넘게 머무는 자는 내란예비음모죄로 체포하라.”
그 녀는 아무것도 모른다. 누군가, 시간을 재고 있다는 걸.
"If things went differently, this could’ve been the life we live today."
Once, in a dystopian nation where surveillance was as common as the air, no one noticed it—until they couldn’t breathe.
Three minutes. One ordinary girl. Two men waiting to arrest her.
‘감시가 일상인 사회’라는 설정을 통해, 개인이 의식하지 못한 일상적인 선택조차 권력의 판단 기준이 되는 시대의 불안을 그리고자 한다. 죄가 없음에도 오직 '머문 시간'만으로 처벌될 수 있는 주인공의 상황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유가 결코 당연한 것이 아님을 상기시키고자 한다. 이 영화는 국가 감시 체제가 가져올 수 있는 무기력과 위협을 조명하며, 익숙한 일상의 균열 속에서 불안을 포착해낸다.
Through the setting of a society where surveillance has become routine, this film seeks to explore the anxiety of an era in which even the most unconscious, everyday choices are judged by those in power. The protagonist’s predicament—being punished solely for the “time spent” in a place despite committing no crime—serves as a stark reminder that the freedoms we enjoy today are never guaranteed.
By highlighting the helplessness and looming threat inherent in state surveillance systems, the film captures the sense of unease that emerges from subtle fractures in the fabric of daily life.
솔직히 말해서 Bare Words
Film School Section 6
경희대학교 Kyung Hee University
강애미 Chiang Emmy
2025 │ Fiction │ 09:46
9.21. Sun 13:00
9.19. - 12.31.
사소한 말다툼 끝에 옥상에 갇힌 미란, 문 너머 정우와의 날 선 말들이 쌓여간다.
서로를 마주하지 못한 채 끝까지 밀어내던 두 사람은, 결국 벼랑 끝에서 진심을 꺼내게 된다.
Locked on a rooftop after a trivial quarrel, Miran and Jung-woo hurl sharp words through a closed door—until, at the brink, they are compelled to confront their true feelings.
소통의 단절 아래 단단히 꼬인 응어리를 풀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 응어리를 풀어나갈 수 있는 올바른 충돌이 무엇일지 끊임 없이 고민하다, 결국 입을 다물고 만다. 서로에게 갈등과 침묵이 난무하는 세상. 진솔하게 대화를 나누며 서로를 존중해줄 수 있는 사회가 필요하지 않을까.
Untangling the knots hardened beneath broken communication is never easy. We keep searching for the right kind of confrontation that might loosen them, yet silence prevails. In a world dominated by conflict and quiet estrangement, what we need most is a society where honesty in dialogue and mutual respect can truly take root.
베이징의 한 부분 A part of Beijing
Film School Section 8
경희대학교 Kyung Hee University
유호명 LIUHAOMING
2025 │ Documentary │ 20:49
9.21. Sun 17:00
9.19. - 12.31.
다큐멘터리는 네 개의 부분을 통해 베이징의 다층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내레이션을 통해 베이징의 역사를 소개하며, 작품 전반의 배경을 마련한다.
두 번째부터 네 번째 부분에서는 베이징에서 60년 이상 살아온 한 노주민의 이야기를 통해 베이징의 음식 문화, 독특한 ‘귀시장’ 생활, 그리고 후통 철거로 인한 도시 변화를 보여준다.
역사적 배경과 노주민의 생생한 증언을 통해 관객은 베이징의 일상, 문화적 특징, 그리고 현대화 과정 속 사회적 변화를 이해하고 생각할 수 있게 된다.
The documentary presents the multifaceted aspects of Beijing through four segments.
The first segment introduces the history of Beijing through narration, providing the overall background for the film.
From the second to the fourth segments, the story is told through the perspective of an elderly resident who has lived in Beijing for over 60 years, showcasing the city’s food culture, the unique “Ghost Market,” and the urban changes caused by hutong demolitions.
Through the historical context and the resident’s vivid testimony, the audience can understand and reflect on Beijing’s daily lif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social changes occurring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저는 베이징에서 생활하며, 이 도시의 다양한 문화를 관객에게 전달하고자 다큐멘터리 을 제작하게 되었다.
본 작품은 관객이 베이징의 역사와 현대적 풍경, 다양한 음식 문화, 독특한 ‘귀시장’ 생활, 그리고 후통의 철거 문제 등 도시와 그 속 사람들의 삶을 이해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마지막 부분의 후통 철거는 현대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논쟁적 문제를 다루어 관객에게 생각할 거리를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베이징의 다층적인 모습을 보여주고자 한다.
live in Beijing, and I created the documentary to convey the diverse culture of this city to the audience.
The film aims to help viewers understand the city and the lives of its people through Beijing’s history and modern landscapes, its diverse food culture, the unique “Ghost Market,” and the issue of hutong demolition.
In particular, the final segment on hutong demolition addresses the controversial issues arising from urban modernization, offering viewers something to reflect on, while the documentary as a whole seeks to showcase the multifaceted nature of Beijing.
메트로 입수 마키나 The Bridges
Film School Section 5
단국대학교 Dankook University
박주환 Park Ju Hwan
2025 │ Fiction │ 28:35
9.21. Sun 10:30
9.19. - 9.28.
우연히 목격한 다리에서 투신하는 여자를 사진으로 찍어 공모전에 출품했던 정수는, 몇 달이 지나 주최 측으로부터 여자의 초상권을 얻어오라는 연락을 받는다. 공모전 당선이 절박한 정수는 당시에 자신의 신고로 구조되었던 여자를 만나 초상권 동의를 받으려고 한다.
A man takes a photo of a woman he witnessed jumping off a bridge and enters it in a contest. Months later, the organizers contact him to acquire the rights to her photo. Desperate to win, he meets the woman who was saved due to his report and asks her for permission to use her portrait.
관객이 정수를 따라다니다 미연에게 도착했을 때, 미연이 담담하게 누르고 있던 아픔을 발견하고 그녀에게 공감할 수 있길 바란다.
In this film, the two main characters meet because of their failures, and in the end, they both fail again. However, what emerges at the end is an emotion that has been missing throughout the story - empathy. This film tells a story of transformation, where the main character, who once looked for bad events, learns to celebrate the positive moments in other people's lives and to empathize with their pain.
I wanted to tell the story of two people connected by their shared experience of failure. At the end of this story, I wanted to face a sense of empathy. The world is in desperate need of empathy.
Daisy Daisy
Film School Section 8
단국대학교 Dankook University
김민서 Kim Min Seo
2024│ Fiction │ 25:56
9.21. Sun 17:00
9.19. - 9.28.
하루의 시작부터 더럽게 꼬여버린 은정의 일상! 차는 새벽부터 퍼지고, 일터에서는 선배에게 밉보이고, 전남친은 은정을 돈줄로만 여기고, 모처럼 만난 기혼자 친구는 자기 얘기만 한다. 은정의 남다른 애착을 받고 있는 엄마 영선은 오늘따라 전화도 안 받는다. 반나절 내내 짜증만 늘어가는 은정.
그 와중에 갑작스럽게 시작된 바다로의 여정은 은정과 영선 모녀에게 아주 특별한 1박 2일을 선사하는데. 엄마, 나 지 금 이대로 살아도 괜찮은걸까?
Eun-jung’s day is a mess from the very start! Her car breaks down before dawn, she rubs her senior the wrong way at work, her ex only sees her as a cash machine, and the married friend she finally meets up with can’t stop talking about herself. Even her mother, Yeong-seon—who Eun-jung clings to with a special kind of affection—won’t answer the phone today. Half the day goes by, filled only with mounting irritation.
But then, a sudden journey to the sea sets Eun-jung and Yeong-seon off on a very special one-night, two-day trip together.
Mom… am I really okay living like this?
때로 진심은 얼굴을 마주하고 전달하는 게 힘들기도 하다. 가까운 사이일 수록 괜히 더 막 대하고 좋은 말을 못 건네고 투박한 말 뒤로 진심을 숨기기도 한다. 조금만 더 서로에게 친절하고 그 뒷모습을 읽어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라는 생각을 쓰면서도 찍으면서도 찍은 이후에도 정말 많이 했던 것 같다. 평생을 미숙할 서로와의 관계, 그리고 나. 그럼에도 그 안에서도 꾸준히 찾아내겠지 서로를 놓지 않고 사랑할 이유를. 나를 위로 하고 싶어 쓰고 찍은, daisy
Sometimes, it’s hard to share what’s truly in your heart face to face. The closer the relationship, the easier it is to act rough, to hold back kind words, and to hide sincerity behind blunt ones. I kept thinking—while writing, while filming, and even after it was done—how wonderful it would be if we could just be a little kinder to each other and read what lies behind those guarded expressions.
A lifetime of clumsy ties between us, and me. And yet, even within that, we’ll keep finding reasons not to let go of each other, reasons to love. daisy—something I wrote and filmed because I wanted to comfort myself.
코쿤 COCOON
Film School Section 2
대진대학교 Daejin University
안치호 Chi-Ho Ahn
2025 │ Fiction │ 11:30
9.20. Sat 15:00
9.19. - 12.31.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노인 “무명”은 인적이 드문 곳들을 돌아다니며 폐지와 만화책 등을 수집한다. 천식 호흡기를 사용하면서도 그는 병든 몸을 이끌며 작업을 이어 나간다. 시간은 지나고 “무명”은 창고에서 막바지 준비를 마치고 집으로 들어간다.
집으로 돌아온 “무명”은 한동안 멈춰 있다가 본격 이상행동을 시작한다. 어질러져 어수선한 집안 속 묘하게 정돈된 짐들을 맴돌며 주워 온 음식물들을 섭취하거나 정형행동을 보인다. 이러한 행동들이 안정될 즘 “무명”은 폐지, 만화책, 신문지를 갈무리하며 집안 중앙에 놓인 고치를 완성시키기 위해 부단히 움직인다.
고치를 제작하는 와중 집 전화의 벨소리가 울리며 “무명”은 공황에 빠지고 만들어둔 임시 패닉 룸인 이불 속에 들어간다. 진정된 후 나온 그는 다시 작업을 시작한다. 이때부터 벽에는 “무명”을 쳐다보는 눈이 하나씩 생긴다. 이후 문 두들김 등 외부로부터 자극이 오는 순간마다 그는 몸부림치며 기억을 떠올리며 자책하고 고치를 만드는데 속도를 낸다. 이런 자극이 올때마다 무명의 방안 벽에는 눈이 추가적으로 하나씩 생겨나며 무명을 쳐다본다.
압박 속에서 고치를 완성한 “무명”은 완성된 고치 안에 들어가 행복함을 느끼며 온전함을 가지지만 정신적 쾌락을 만끽할 뿐 육체 및 고치는 서서히 변화한다. 고치 내부에서의 “무명”은 자신의 이상적만 기억과 쾌락만 주는 자료들을 보며 편안해한다. 이때마다 벽 가득한 눈들은 무명의 고치를 쳐다보고 있다. 회피의 쾌락 속에 지내며 고치는 서서히 검게 물들고 무르익은 순간 “무명”은 깨어난다. 몸에는 이상하게 젖은 날개가 말린 채 붙어있는 등 외형도 많이 변화한 상태이다. 우화를 마친 것도 잠시, “무명”은 다시 현실에 깨어나고 썩은 고치에 팔만 뻗은 채 멈춰 있다.
An old man named “Mumyeong” (meaning nameless), haunted by trauma, wanders through desolate places collecting scraps of cardboard, old comic books, and other discarded items. Even while relying on an asthma respirator, he drags his sick body along and continues his work.
Time passes, and Mumyeong finishes his final preparations in a warehouse before returning home. Upon entering, he stands still for a while, then begins to display increasingly abnormal behavior. Moving around the cluttered, chaotic house where strangely, certain piles seem meticulously arranged, he consumes the food he had scavenged and engages in ritualistic, repetitive actions.
As these behaviors gradually stabilize, Mumyeong begins gathering cardboard, comic books, and newspapers, tirelessly working to complete a cocoon placed at the center of his home.
During this, the house phone rings. The sound throws him into panic, and he hides inside a makeshift panic room made from blankets. Once he calms down, he emerges and resumes his work. From this point onward, eyes begin to appear on the walls, one by one, staring at him.
Every time a stimulus arrives from the outside world knocking at the door, sudden noises Mumyeong writhes in anguish, recalling memories, blaming himself, and frantically accelerating the construction of his cocoon. With each disturbance, another eye appears on the wall, all fixed on him.
Under this mounting pressure, Mumyeong finally completes the cocoon. Inside it, he feels happiness and a sense of wholeness—but only as a form of mental ecstasy. His body, as well as the cocoon, slowly begin to transform. Within, he gazes at his idealized memories and materials that grant only pleasure, finding peace there. Yet all the while, the walls, filled with countless eyes, watch the cocoon relentlessly.
As he remains immersed in the pleasure of escape, the cocoon gradually turns black, ripening until the moment Mumyeong awakens. His body has changed strange, damp wings cling folded to his back. He has undergone metamorphosis, but only briefly. Soon, he finds himself once again thrust into reality, his body trapped, with only his arms stretched out of the rotting cocoon motionless.
청년 고독사가 가까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친구로 인해 체감하게 되었다. 친구는 무거운 원인으로 고독사의 문턱 가까이 다가갔다. 주변의 압박과 여러 사정들에 의해 자신이 만든 울타리에 스스로를 가두고 밖으로 나가지 않거나 못하는 이들 중 하나였고 그로 인해 나는 여러 생각에 빠졌다. 단순 무거운 이유만이 아니더라도 근처엔 집에만 박혀 안락함에 빠져 현실로 나서지 못하는 이들이 상당히 존재한다. 나 또한 그런 삶에 익숙해지는 것 같았고 “알을 깨고 나와 현실을 살아야 된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렇게
“현실로부터 도피해 행복한 과거, 즐거움에만 취해 스스로를 가두고 밖을 나가기를 거부하는 이들의 각성”
이라는 주제의 이야기를 전달하고 싶어졌다. 이로써 좀 더 많은 사람들이 현실과 가까이 지내며 좋지 않은 선택들을 지양했으면 한다.
I came to realize the reality of lonely deaths among young people through my friend. My friend, burdened with heavy causes, had come dangerously close to the threshold of such a fate. Pressured by circumstances and the weight around him, he built a wall around himself and became one of those who no longer went out or couldn’t. Because of this, I fell into deep thought.
Even without such heavy reasons, there are many who shut themselves in at home, indulging in comfort and unable to step into reality. I, too, felt myself growing accustomed to that kind of life, and I began to think, “I must break out of my shell and truly live in reality.”
From this, I wanted to convey the theme:
“The awakening of those who imprison themselves in the happiness of the past and fleeting pleasures, refusing to step outside into reality.”
Through this, I hope more people will stay closer to reality and avoid making painful, irreversible choices.
별난정오 Ordinary day
Film School Section 3
대진대학교 Daejin University
이혜민 hyemin lee
2025 │ Fiction │ 18:13
9.20. Sat 17:00
9.19. - 9.28.
3년을 함께한 연인, 정오와 연희는 긴 연애 끝에 이별을 택한다.
혼자가 된 정오는 무언가 해보려 하지만, 허무함만이 가득하다.
답답한 마음에 담배를 피우러 밖으로 나간 정오.
하지만 라이터가 없다.
그때, 낯선 여자가 다가와 라이터를 건넨다.
불꽃이 켜지는 순간, 정오의 눈앞엔 붉은 빛이 번지고, 그 장면은 아침 햇살로 이어진다.
...
다음 날, 정오는 금주와 함께 깨어난다. 어제 처음 만난 여자와의 아침.
서로를 오래 알고 지낸 듯 자연스러운 둘의 분위기.
그 짧은 평온 속, 전 애인에게서 연락이 온다.
그녀는 정오의 집에 두고 간 물건이 있다며, 지금 오고 있다고 말한다.
긴 망설임 끝에 정오는 무언가를 말하려 다시 전화를 걸지만,
그 순간, 연희의 휴대전화는 꺼져 있다.
이별과 만남, 흔들리는 감정의 한가운데에서
정오는 다시, 하루를 맞이한다.
After three years together, Jung-oh and Yeon-hee decide to end their long relationship. Now alone, Jung-oh tries to keep himself busy, but is overwhelmed by a sense of emptiness. Feeling suffocated, he steps outside for a cigarette—only to realize he doesn’t have a lighter.
At that moment, a stranger approaches and offers him one. As the flame sparks to life, a red glow fills Jung-oh’s vision, slowly fading into the morning sunlight.
...
The next day, Jung-oh wakes up beside Geum-joo—the woman from the night before. Despite being strangers, there’s a quiet ease between them, as if they’ve known each other for a long time.
In the midst of that brief calm, a message arrives from his ex. She says she left something at his place—and she’s on her way now.
After a long hesitation, Jung-oh tries to call her back to say something... But at that moment, Yeon-hee’s phone is already turned off.
Caught between a parting and a beginning, Jung-oh quietly steps into another day.
영화 <별난정오>는 오랜 연인이었던 ‘연희’와 새롭게 나타난 ‘금주’ 사이에서 흔들리는 정오의 내면을 따라간다.
헤어진 후의 관계에 대한 책임은 과연 누구에게 있는가.
사랑이 빠르게 져버렸다고 해서, 그 감정이 가볍다고 말할 수 있을까.
또한, 빠르게 피어난 사랑 역시 가볍지 않다.
사랑은 그 순간마다 진심이며, 언제나 강렬하다.
이 영화는 그렇게, 짧게 피고 지는 사랑에 대한 이야기다.
The film <Ordinary day> follows Jung-oh as he finds himself torn between Yeon-hee, his longtime lover, and Geum-joo, a new presence in his life.
After a breakup, who truly bears the weight of responsibility for what remains?
Even a love that fades quickly cannot be dismissed as light or fleeting.
And a love that blooms just as fast is no less sincere.
Every moment of love is intense and heartfelt.
This is a story about love that burns briefly — but never lightly.
해병 180기의 사격술 Marksmanship of 180th marine corps
Film School Section 6
대진대학교 Daejin University
이경준 Lee Kyung Jun
2025 │ Fiction │ 20:27
9.21. Sun 13:00
9.19. - 12.31.
집 안 사정으로 인해 전라도 나주에서 할아버지와 지내게 된 진상. 해병대 출신 할아버지는 진상이와 다르게 규율과 규칙에 엄격하다. 진상이는 그런 할아버지가 싫다. 그런 할아버지를 피해 집을 나서는 진상.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게 된다. 아이들은 비비탄 총으로 사냥을 하며 논다고 한다. 총을 한번도 쏴본적이 없는 진상은 친구들과 지내기 위해 사격연습을 해야만 한다. 진상이는 해병대 출신 할아버지에게 사격을 알려달라고 하게 되는데 특훈을 받으며 어느새 할아버지와 가까워진 진상. 다음 날 친구들은 사냥 대상이 도깨비라고 말해준다. 도깨비를 발견한 아이들. 진상이 눈에는 할아버지 뒷모습만 보인다. 진상이는 집으로 돌아와 파스를 붙이고 있는 할아버지에게 모질게 대하지만 오해가 풀린다. 결국 다음 날, 어김없이 사냥을 하러나가는 친구들. 진상이는 총을 내려놓으며 더 이상 사냥놀이를 하지 않겠다고 말한다. 그 말을 들은 친구들은 배신자 진상이를 처단하기 위해 진상이에게 총을 겨눈다. 그 순간, 어디선가 들리는 총성. 그리고 아이들 앞에 등장하는 도깨비. 그렇게 상황은 종결되고 진상이와 함께 시골길을 걸어가며 이야기를 나눈다.
Due to family circumstances, Jinsang ends up living with his grandfather in Naju, Jeolla Province. Unlike Jinsang, his grandfather, who was a Marine, is strict about rules and regulations. Jinsang dislikes such a grandfather. Jinsang leaves home to avoid his grandfather. He starts hanging out with friends his age. The kids are said to hunt and play with BB guns. Jinsang, who has never shot a gun before, has to practice shooting to get along with his friends. Jinsang asks his grandfather, who was a Marine, to teach him how to shoot, and while receiving special training, Jinsang becomes close to his grandfather. The next day, his friends tell him that the target of their hunt is a goblin. The kids find a goblin. Jinsang only sees his grandfather's back. Jinsang returns home and is harsh to his grandfather, who is putting on a patch, but the misunderstanding is resolved. The next day, his friends go hunting as usual. Jinsang puts down his gun and says he will not play hunting anymore. Upon hearing that, the friends aim their guns at Jinsang to punish the traitor. At that moment, a gunshot is heard from somewhere. And a goblin appears in front of the children. The situation ends like that, and they walk along a country road with Jinsang and talk.
어린 마음과 서툰 방법으로 서로의 마음을 표현하는 두 인물들이 서로를 이해하며 바뀌어 나가는 것처럼 관객들도 서툰 관계에 있어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I hope that the two characters, who express their feelings to each other with childish hearts and clumsy methods, will understand each other and change, and that this will be an opportunity for the audience to reflect on their clumsy relationship.
살처분 Forced Silence
Film School Section 4
동아방송예술대학교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
서예인 Seo Ye In
2025 │ Fiction │ 23:40
9.20. Sat 19:00
9.19. - 9.28.
엄마에게서 어떻게든 독립을 하고자 돈이 필요한 주희는 서울에 혼자 살며 여러 일들을 전전한다. 그러던 어느날 큰 일당을 받고 가게 된 일터가 조류들을 살처분하는 현장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Ju-hee needs money to move away from her hometown and take care of herself, so she lives alone in Seoul and takes odd jobs. When she is offered a new job that pays well, she discovers that it is at a place where they slaughter birds. The film revolves around the 1980 massacre by the military regime in Gwangju and the younger generation trying to move on from this history.
시대의 아픔을 경험하지 못한 주인공의 걸음을 통해 어디선가 반복되는 오래된 폭력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싶었다.
I wanted to discuss how the violence of the past keeps coming back, as seen through the path of the protagonist who did not experience the suffering of that era.
솔이의 솔이 Not Quite Myself Today
Film School Section 6
동아방송예술대학교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
이가은 Lee Gaeun
2025 │ Fiction │ 26:00
9.21. Sun 13:00
본 작품은 온라인 상영을 하지 않습니다
전 영화 추가 소스를 따기 위해 주업에게 캠코더를 빌리러 간 솔이, 백업되지 않은 캠코더 안에서 자신에 대한 주변 사람들의 평가를 마주한다. 솔이는 그들을 한 명씩 찾아가 보기로 한다.
Soi borrows a camcorder from Joo-up to gather extra footage for a film. Inside the device, unbacked-up recordings remain, filled with the voices of people speaking about her. Confronted with these unexpected reflections, Soi decides to seek them out, one by one.
누군가 찾아가 화내고 싶은 날들이 있다. 남들의 언어로 듣는 내가 낯선 순간이 있고, 부정하고 싶은 마음이 목끝까지 차오를 때가 있다. 나는 미움받을 용기도, 스스로를 긍정할 힘도 없는 사람이었다. 이 영화는 타인의 언어를 통해 나를 복기하는 이야기다. 날카롭고 매서운 말들이지만, 때로는 나보다 객관적인 시선이기도 했다. 그 시선을 피하지 않고 마주할 줄 아는 내가 존재했으면 해서 이 영화를 만들었다. 서로의 이면을 눈감은 채 살아가는 것이 현실이고, 그런 나는 상상에 불과할지라도.
There are days when I want to go to someone and lash out. There are moments when hearing myself through the words of others feels strange, and the urge to deny rises all the way to my throat. I had neither the courage to be hated, nor the strength to affirm myself. This film is about revisiting who I am through the language of others. The words may be sharp and harsh, yet at times they are more objective than I am. I made this film in the hope of imagining a self who does not look away, but faces those gazes head-on. In reality, we often brush past one another with eyes closed to our hidden sides. And perhaps, such a version of me exists only in imagination.
엄마를 부탁해 BE MY MOM
Film School Section 1
명지대학교 Myongji University
강해용 Kang Hae Yong
2025 │ Fiction │ 24:18
9.20. Sat 13:00
9.19. - 12.31.
수학여행을 가지 못한 윤수는 엄마의 병문안을 간 병원에서 세빈의 아빠에 의해 핸드폰 액정이 깨지게 된다. 세빈은 윤수에게 엄마가 죽어서 받는 보험금으로 핸드폰 비를 갚겠다는 얘기를 하고 이 말도 안되는 제안에 함께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둘은 서로의 처지와 아픔을 알게 되고, 둘만의 수학여행을 떠나기로 한다.
Yoon-soo, who failed to go on a school trip, is broken by Se-bin's father at a hospital where he visited his mother's hospital. Se-bin tells Yoon-soo that he will pay off his cell phone bill with the insurance money his mother receives after her death, and joins this ridiculous proposal. In the process, the two learn about each other's situation and pain, and decide to go on a school trip alone.
영화속 두 주인공 윤수와 세빈은 사춘기를 겪고 있는 아이들입니다. 두 아이들은 부모의 돌봄을 온전히 받지 못한 채, 오히려 돌봐야 하는 역할을 감당합니다. 저는 이 아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부모, 어른이 아니라 옆에 있어서 기댈 수 있는 존재, 힘들 때 잡아줄 수 있는 따뜻한 손을 내밀어 주는 존재라고 생각했고 이를 영화에 담아내었습니다.
Yoon-soo and Se-bin, the two main characters in the movie, are going through puberty. The two children were not fully cared for by their parents, but rather took care of them. I thought that what was important to these children was not their parents or adults, but those who could lean on them and those who gave them warm hands to hold them when they were struggling, and I captured this in the movie.
에덴의 서쪽 West of Eden
Film School Section 7
명지대학교 Myongji University
노규환 Noh Kyu Hwan
2025 │ Fiction │ 10:39
9.21. Sun 15:00
9.19. - 12.31.
1986년 동방기독교고등학교, 학생인 주원은 선악과를 따먹으라는 죄의 유혹을 받는다. 그 뿐만 아니라 성인잡지를 보고 싶은 주원. 유혹의 연속에서 주원은 결국 금기를 넘어버린다. 그리고 이 모습을 교목과 친구들에게 들키며 죄값을 치를 준비를 한다.
The year is 1986. Ju-won, a student of Dongbang Catholic High School, feels tempted to eat the forbidden fruit, an act which leads to sin. Not just that, he feels the urge to read an adult magazine. A series of temptation triggers Ju-won to eventually break the taboo. As his actions get witnessed by the school principal and his friends, Ju Ju-won prepares himself to pay for r his his own deeds.
원죄와 자범죄에 괴로워하는 기독교인을 긴장감 있으면서도 코믹하게 보여주고 싶었다. 자신만의 선악과를 따먹고, 죄의식에서 벗어나 신을 위한 삶이 아닌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게 어떨까 하고 말하고 싶었다.
I wanted to portray a Christian dealing with suffering due to their original Sin and actual sin by creating a tension, but also putting a comedic spin on the character. I wanted to talk about a life being freed from all sins, not devoting it to God, but becoming the one taking ownership of it.
교수대 위의 까치 The Magpie on the Gallows
Film School Section 8
명지대학교 Myongji University
이수현 Lee Su Hyeon
2024│ Fiction │ 07:37
9.21. Sun 17:00
9.19. - 12.31.
목에 밧줄을 건 채 삶을 붙잡고 싶어진 순간, 진우는 그동안 외면해온 이웃 미연과 마주한다.
With a rope around his neck and a fleeting grasp on life, Jinwoo comes face to face with Miyeon, the neighbor he once refused to see.
무관심으로 점철된 세상에서, 무시된 목소리들의 충돌을 통해 타인의 고통을 외면하는 우리의 일상적 선택이 어떤 결과를 낳는지 묻고자 한다
In a world shaped by indifference, the collision of overlooked voices questions the consequences of our daily choices to ignore others’ suffering.
인공지능 인베이젼 AInvasion
Film School Section 1
서울예술대학교 Seoul Institute of the Arts
김성욱 Kim Sung Wook
2024│ Fiction │ 12:10
9.20. Sat 13:00
9.19. - 12.31.
자살 예방 센터의 AI 상담원의 도입으로 인해 직장에서 해고 당한 전화 상담원 상현, 분노에 차 AI 상담원의 전선들을 모두 뽑아 버린다. 잠시 뒤, 자주 전화 상담을 하던 내담자 가인에게 전화가 오는데...
Sang-hyun, a telephone counselor at a suicide prevention center, is fired after the introduction of AI counselors. Not long after, he receives a call from Ga-in, a client he used to speak with regularly.
뜨거운 피가 몸 안에서 흐르는 인간들끼리 느낄 수 있는 무언가가 있다고 믿는다. 사람과 사람이 만나 대화를 하고, 서로의 온기를 나누며 각자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 기술이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해주는 것은 틀림없지만, 그것이 존재하지 않을 때 느낄 수 있는 아날로그적인 온기는 우리가 잃어선 안 되는 것이라 믿는다. 기술의 파도가 물밀 듯 들이닥쳐 올 때,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I believe there is something that only human beings, with hot blood flowing through their bodies, can truly feel. When people meet, converse, share warmth, and come to understand each other’s emotions—that is something irreplaceable. Technology undoubtedly enriches our lives, but the analog warmth we experience in its absence is something we must never lose. When the waves of technology come surging in, what is it that only humans can do?
Nail Flower Nail Flower
Film School Section 2
서울예술대학교 Seoul Institute of the Arts
노언식 Roh Eon Sik
2025 │ Fiction │ 18:26
9.20. Sat 15:00
9.19. - 9.28.
황폐한 재개발구역에서 홀로 어린 하윤을 키우는 은희, 그녀는 땅에 박힌 못을 꽃이라 믿는 딸의 믿음을 지켜주기 위해 새벽마다 못을 꽃의 모양으로 바꿔 놓는다.
Eunhee is a welder and single mother who lives with her young daughter in a shabby redevelopment area. It's hard for her to juggle work and care for her daughter, who has attention deficit disorder. One day, Eunhee notices that her daughter believes that the nail in the ground is a flower. To keep this belief alive, Eunhee starts secretly welding the nail into the shape of a flower at dawn.
날카롭지만 아름다운 못 꽃이라는 소재를 통해, 믿음의 수용과 보호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자 하였다.
With the image of the sharp yet beautiful nail flowe, I wanted to raise the question of acceptance and the protection of faith.
미행성 The Planetesimal
Film School Section 7
서울예술대학교 Seoul Institute of the Arts
구본영 Koo Bon Yeong
2024│ Fiction │ 19:37
9.21. Sun 15:00
9.19. - 9.28.
한적한 시골마을에 소행성이 떨어진 날, 평생 살았던 천우의 집으로 엄마의 새남자가 불쑥 찾아온다.
An asteroid hits a remote rural town. On the same day, teenager Cheonu meets his mother’s new boyfriend, who shows up at their house out of the blue. Cheonu struggles to come to terms with reality.
이것은 재난인가 변화인가. 충돌인가 착륙인가. 우리는 언제나 익숙함 속에서 안정을 꿈꾸지만, 변화는 늘 갑작스럽고 무례하게 다가온다. 낯선 것을 적응해 나간다는 것은 어렵고 힘든 일이다.
Be it a catastrophe or a change, a crash or a landing. We always dream of stability in the realm of the familiar, but change always comes abruptly and rudely. Adapting to the unfamiliar is a difficult and exhausting task.
양밥 The Yangbap: Damnation
Film School Section 7
서울예술대학교 Seoul Institute of the Arts
박보람 Park Bo ram
2024 │ Fiction │ 11:38
9.21. Sun 15:00
9.19. - 12.31.
령의 딸 주영이 남자친구 태수로 인해 자살하게 된다. 하나뿐인 딸을 잃은 ‘한 恨’을 품은 무당 령. 태수 또한 주영과 같은 고통을 주기 위해 양밥이라는 저주를 건다. 태수가 령의 신당에 찾아와 몇 번이고 굿을 하지만 주영이 떨어지는 커녕 오히려 힘을 더 싣는다. 태수와 령은 이번이 마지막이라며 여섯 번째 굿을 하게 되는데… 복수의 끝에는 뭐가 남을까?
Juyoung takes her own life because of her boyfriend, Taesu. Devastated by the loss of her only daughter, the shaman Ryeong is consumed by grief and fury. She places a curse called “Yangbap” on Taesu, determined to make him experience the same torment Juyoung endured. Desperate to break free, Taesu visits Ryeong’s shrine again and again, undergoing multiple rituals—but instead of banishing Juyoung’s presence, it only strengthens. As the sixth and final ritual approaches, both Ryeong and Taesu brace themselves for the inevitable. When revenge runs its course, what will remain?
가장 한국적인 이야기 중 하나인 '한 (恨)' 을 담고 싶었습니다.
I wished to capture one of the most deeply Korean stories — the spirit of Han (恨).
샤양헤 i LoVe Yuuu
Film School Section 1
성결대학교 Sungkyul University
안향 Ahn Hyang
2024 │ Fiction │ 05:55
9.20. Sat 13:00
9.19. - 12.31.
두 남녀가 너무 뜨거운 키스를하다 혀가 묶이 고만다. 둘은가위를 들고 누구의 혀를 자를지 가위바위보로 결정하기로한다.
The two men and women kiss so hot that their tongues are tied. The two decide by rock-paper-scissors to decide whose tongue to cut.
사랑에 관한 아주 짧고 뜨거운 딜레마.
A very short and hot dilemma about love.
손가락을 찾는 방법 Papa’s finger
Film School Section 3
성결대학교 Sungkyul University
손윤희 SON Yoon-Hee
2025 │ Fiction │ 21:39
9.20. Sat 17:00
9.19. - 9.28.
리희는 아빠의 잃어버린 손가락을 찾기 위해 동생 리안과 함께 모험을 떠난다.
After their father loses a finger while working in a factory, a young sister and brother set out on a quest to find it. But the basement of the factory holds a scary secret they could never have imagined. Will they return safely from their adventure and return the finger to their father?
아이들의 시선에서 바라본 사회의 구조란 무엇일까.
지배계급의 입 안에서 씹힐 뿐인 노동자들을 버티게 하는 존재에 대해 얘기하고 싶었다.
What does the structure of society look like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
I wanted to speak about the very existence that keeps workers enduring, even as they are nothing more than something chewed inside the mouths of the ruling class.
구덩이 Hole
Film School Section 5
성결대학교 Sungkyul University
양선민 Yang Sun Min
2025 │ Fiction │ 21:38
9.21. Sun 10:30
9.19. - 9.28.
오랜 친구 사이인 12살 해수와 선. 선은 언제나 스스로 선택을 하지 못한채 해수가 시키는대로만 지내왔다. 하지만 해수가 곧 미국으로 이민을 간다는 것을 알게 되자 선은 혼란에 빠진다. 그리고 그 날, 뒷산 깊은 곳에 난 구덩이에 해수가 빠지게 된다.
Sun and Haesu, both 12 years old, have been close friends for a long time. Sun has always struggled to make her own decisions and tends to do what Haesu suggests. When Sun learns that Haesu is moving to the United States, she feels devastated. On the same day, Haesu falls into a deep pit in the woods near her home.
성장의 순간은 가장 원하지 않을 때 찾아온다. 자라지 않으려고 노력해봤지만 끓어넘치는 냄비의 뚜껑을 닫고 끌어안는 꼴이었다. 보이지 않는 곳에 숨겨보아도, 점점 몸집을 키우며 나를 쫓아오는 두려움을 담아보고 싶었다.
Whether to go left or right, every moment requires a choice. Maybe growing up means learning to make choices and not looking back. The protagonist is on the border between being a child and a young woman. She feels less mature than her peers and longs for a passive life. When she finally makes her first choice on her own, she must move forward. There's no going back, even though she feels something following her and wants to avoid making more choices. The fear of the paths she hasn't taken and the things she hasn't done keep coming back, both real and imagined. She tries to push away her fears, regrets, vulnerability, and guilt, but even when she closes her eyes, the fear keeps coming back.
Growth usually comes when you don't want it. I also tried to resist growing up, but it was like hugging a pot of boiling water with the lid on. I wanted to reflect my fears as they kept growing and chasing me, even if I kept them out of sight.
뷰파인더 Viewfinder
Film School Section 2
수원대학교 The University of Suwon
박유하 Park Yu ha
2024 │ Fiction │ 17:14
9.20. Sat 15:00
9.19. - 12.31.
사진을 좋아하던 윤하는 20년 지기 친구 하정에게 친구 이상의 감정을 느끼고, 하정과의 추억이 가득한 강화도를 도망치듯 떠난다. 시간이 지나 다시 찾아온 강화도. 윤하는 그곳에서 하정을 만나게 되고 뷰파인더 속 머물러있던 추억들이 모습을 드러낸다.
Yoon-ha, who loves photography, develops feelings beyond friendship for Ha-jung, her friend of twenty years. Unable to face those emotions, she leaves Ganghwa Island, a place filled with their memories. Years later, she returns, encounters Ha-jung again, and the memories once frozen in her viewfinder slowly come back to life.
우리는 흘러가는 것들을 놓아줄 용기가 필요하다.
그 빈자리엔 새로운 것들로 나를 채워나가며 성장한다.
의미가 달라진 관계를 마주한, 서로 다른 모습의 두 사람을 그려내려 한다.
We need the courage to let go of what inevitably drifts away.
In the emptiness it leaves behind, we grow by embracing the new.
This film follows two people confronting a relationship that has changed in meaning,
each facing the other in a different form, and discovering how to live within that transformation.
일방통행 One-way
Film School Section 4
수원대학교 The University of Suwon
장예찬 Jang Ye Chan
2024 │ Fiction │ 07:42
9.20. Sat 19:00
9.19. - 12.31.
집 안을 메우는 건 냉장고와 환풍기 소리뿐. 미영은 화장을 지우며 보이지 않는 ‘오빠’에게 이야기를 털어놓는다. 마트에서의 사소한 무시를 늘어놓는 그녀 앞에는 한 남자가 죽어가고 있다. 멈추지 않는 독백은 분노와 울음, 그리고 기묘한 웃음으로 뒤섞여 흐르고, 다시 화장을 지우는 미영. 끝내 마트에서의 기억에 사로잡힌 그녀는 죽어가는 남자에게 묻는다.
“내가 정말 그렇게 미친년 같았어?”
In the stillness of her home, with nothing but the drone of a refrigerator and a fan, Mi-young removes her makeup and confides in an unseen “oppa.” She recounts a trivial slight at the supermarket, unaware—or perhaps indifferent—that a man sits dying before her. Her stream of words unravels into anger, sobs, and finally a bizarre laughter, before she resumes erasing her face. Haunted by her own memory, she turns to the fading man and asks: “Did I really seem that crazy?”
인간은 관계 속에서 살아가지만, 팬데믹 이후 우리는 점점 더 고립되고 자기 자신에게만 몰두하게 되었다. 이런 균열된 현실 속에서, 일상 곳곳에는 묻지마 범죄와 충동적 범행이 도사리고 있다. 이 영화는 안전을 위해 더 멀어지는 사회의 아이러니, 그리고 겉보기엔 평범하지만 결코 평범하지 않은 인물 미영이 저지르는 불길한 범행을 통해 그 모순을 드러내고자 한다.
Human beings live through relationships, yet the pandemic left us more isolated, absorbed in ourselves. In this fractured reality, random and impulsive crimes lurk within ordinary life. This film explores that paradox: a society that distances itself in the name of safety, and a protagonist, Mi-young, whose seemingly ordinary life unravels into an unsettling act of violence.
수증기 City Of Fog
Film School Section 7
수원대학교 The University of Suwon
윤이안 Yoon Ian
2025 │ Fiction │ 20:30
9.21. Sun 15:00
9.19. - 12.31.
삶의 벼랑 끝에 놓인 회사원 정호는 자신의 출세를 위하여 회사 장부를 들고 도망친 효운을 추적하기 시작한다.
Jeong-ho, an office worker on the edge of a cliff, begins to track down Hyo-un, who ran away with the company's ledger, in order to advance his career.
누군가의 말 처럼, 현대 사회는 불 위에 올려진 압력솥과도 같아서 그 압력을 견디지 못하면 수증기처러 증발해버리고 만다. 목적지 없는 도피를 택한 사람들. 그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삶의 압력을 조명하고자 했다.
As someone once said, modern society is like a pressure cooker on fire. If you can't withstand the pressure, you'll evaporate like steam. I wanted to follow in the footsteps of those who choose to escape without a destination, illuminating the pressures of life.
오늘 밤의 비 Tonight’s rain
Film School Section 4
용인대학교 Yong In University
양희진 Yang Heejin
2025 │ Fiction │ 21:36
9.20. Sat 19:00
9.19. - 12.31.
드러머를 꿈꾸는 지윤에게, 위로가 되는 건 오직 5년전 진해에서의 단짝친구 태희와의 채팅이다. 시험 하루 전, 지윤은 태희를 만나러 진해로 떠난다. 낯선 감정이 마음을 스치고, 지윤은 그 순간을 시로 남긴다.
Ji-yoon, who dreams of becoming a drummer, the only comfort is chatting with her childhood friend Tae-hee, from five years ago in Jinhae. The day before her exam, Ji-yoon sets off for Jinhae to meet Tae-hee. A strange emotion brushes against her heart, and Ji-yoon captures the moment in a poem.
익숙했던 것이 낯설어질 때, 변하는 것들에 익숙해져야 하는걸까. 어쩌면 나에게 변하는 것이란 잃어버리는 것에 가까웠다.
When the familiar becomes unfamiliar, do we have to become accustomed to change? Perhaps, for me, change was closer to loss.
기록되는 시간 While Filming a Documentary
Film School Section 8
용인대학교 Yong In University
이승표 Lee Seung Pyo
2025 │ Fiction │ 19:50
9.21. Sun 17:00
9.19. - 12.31.
영화과 학생 민준은 슬럼프와 건강 문제로 무너진 동네 형 현성을 주인공으로 다큐를 찍기 시작한다. 운동장·집·동네 등 일상을 따라가며 “변화”를 만들고 증명하려는 민준은, 헬스장 촬영·납골당 방문까지 요구하며 점점 대상을 밀어붙인다. 순응과 거부를 오가는 현성은 촬영에 대한 피로와 불편을 드러내고, 결국 차 안에서 둘의 갈등이 폭발한다. 편집실에서 자신이 대상을 과하게 압박하고 대상화하던 장면들을 마주하기 시작한 민준은, 괴로워 하지만 결국 완성하여 교내 상영을 하게 된다. 스크린에는 ‘현성의 회복 서사’가 흐르고, 민준은 관객석에서 현성의 모습을 발견한다. 그러나 그것은 헛것을 본 것이었고 민준은 대상화와 왜곡으로 얼룩진 작품을 보고 부끄러움을 느낀 후 극장을 나온다. 다음 아침, 운동장에 혼자 나온 민준은 홀로 트랙을 돈다.
Film student Min-jun begins a documentary about Hyun-sung—the older neighborhood friend undone by a slump and health problems. Trailing his daily life across the track, home, and neighborhood, Min-jun tries not only to observe but to manufacture and prove “change,” pushing his subject further by insisting on gym footage and even a visit to the columbarium. Oscillating between compliance and refusal, Hyun-sung grows visibly fatigued and uncomfortable, and their conflict finally erupts in the car. In the edit room, Min-jun confronts shots that reveal how he pressured and objectified his subject; anguished, he nevertheless completes the cut and screens it on campus. Onscreen, a tidy arc of Hyun-sung’s “recovery” plays; in the audience, Min-jun thinks he spots Hyun-sung—only to realize it’s a mirage. Ashamed by a work smudged with objectification and distortion, he walks out. The next morning, Min-jun returns alone to the track and runs by himself.
본 작품은 ‘돕고자 한 선의’가 카메라를 통과하며 통제와 대상화로 비틀리고, 그 열정이 편집실의 모니터 앞에서야 비로소 자기기만으로 드러나는 과정을 형식으로 체험하게 하고자 합니다. 서사는 관찰에서 개입으로 미끄러지는 민준의 시선을 따라가되, 화면 문법은 민준의 1인칭 시점과 제3자의 거리를 교차시켜 관객이 동시에 몰입하고 의심하도록 유도합니다. 이때 카메라는 기록의 도구를 넘어 권력이자 결국 자기 자신을 비추는 거울로 기능하며, 편집 모니터는 플라톤의 동굴처럼 ‘편집본’이라는 그림자를 진실로 오인하게 만드는 장소입니다. 어항의 무성한 수초와 더딘 물고기의 움직임, 운동장 첫 장면의 의상 대비 같은 디테일은 현성의 뒤엉킨 내면과 촬영자/피촬영자의 비대칭을 은근히 각인시키고, 편집 단계에서는 타임라인의 삭제와 점프라는 흔적 자체가 무엇이 지워졌는지에 대한 증거가 되도록 설계했습니다. 정점에서 차 안의 고정 롱테이크는 편집적 개입을 배제한 채 날것의 충돌을 통째로 견디게 하고, 이어지는 상영관 장면에서는 관객 속에 보였다고 믿는 현성의 뒷모습과 스크린 위 ‘회복 서사’, 그리고 민준의 미세한 균열이 충돌하며 자각→외면→성찰로 이어지는 내적 변화를 마침내 응결시킵니다. 결과적으로 이 영화는 한 청년 감독의 실패를 응시함으로써 창작 윤리의 질문을 설교가 아닌 형식으로 증명하고, 마지막 운동장에서 답을 단정하지 않은 채 다시 시작할 책임을 관객과 함께 사유하고자 합니다.
This film invites the audience to experience—through form—how a well-meant desire to help, once mediated by the camera, bends into control and objectification, and how that fervor reveals itself as self-deception only before the glow of the editing monitor. The narrative follows Min-jun’s gaze as it slides from observation into intervention, while the visual grammar alternates between his first-person POV and a detached third-person view, prompting viewers to both inhabit and question his actions. The camera is not merely a recording tool but a form of power and, ultimately, a mirror; the edit suite operates as a Platonic cave that tempts him to mistake the “shadow” of the cut for truth. Details—the aquarium overgrown with plants and the fish moving with effort, the wardrobe contrast in the opening track scene—quietly inscribe Hyun-sung’s entangled interiority and the asymmetry between filmer and filmed. In the edit, visible traces of deletions and timeline jumps are left as evidence of what has been erased. At its crest, the fixed rear-seat long take in the car withholds editorial rescue so the raw collision must be endured; in the auditorium, the presumed glimpse of Hyun-sung in the crowd, the tidy “recovery” on screen, and Min-jun’s fine fracture are intercut to crystallize a passage from recognition through avoidance to reckoning. Ultimately, by looking squarely at a young director’s failure, the film advances questions of creative ethics not by sermon but by form, and in the final track sequence refuses a definitive answer, inviting the audience to share the responsibility of beginning agai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