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막작
경기필름스쿨페스티벌 2025의 개막작은 경기도 소재의 영화학교 작품 중 계원예술고등학교 박민주 감독의 '바위, 가위, 보.'와 용인대학교 김성준 감독의 '굴, 광어, 고라니 그리고 인간'을 선정하였습니다.
‘굴, 광어, 고라니 그리고 인간’은 평범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정민이 자신의 삶이 남들과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고, 전생과 마주하며 자신만의 행복을 찾아가는 여정을 그린 작품입니다. ‘바위, 가위, 보’는 어린 시절 할머니께서 말씀해주신 미신을 믿는 은경과 석훈이 서로에 대한 마음을 숨기며 겪는 오해와 우정을 담아낸 이야기입니다. 두 작품 모두 청춘의 도전과 성장, 그리고 소소한 일상 속 의미를 탐구하며 페스티벌의 창조적이고 실험적인 정신을 보여줍니다.
The opening films of the Gyeonggi Film School Festival 2025 have been selected to be “Rock, Scissors, Paper,” directed by Park Min Ju from Kaywon High School of Arts, and “Unfitness,” directed by Kim Seong Jun from Yongin University, both of which are works from film schools based in Gyeonggi Province.
“Unfitness” follows Jeong-min, a typical high school senior who realizes he is living the same life as everyone else, as he confronts his past lives and embarks on a journey to discover his own path to happiness. “Rock, Scissors, Paper” tells the story of Eun-kyung and Seok-hoon, who, believing in childhood superstitions passed down by their grandmother, hide their feelings for each other, leading to misunderstandings and moments of friendship. Both films explore themes of youth, challenge, and growth, as well as the small yet meaningful moments of everyday life, reflecting the festival’s spirit of creativity and experimentation.
굴, 광어, 고라니 그리고 인간 Unfitness
Opening Film
용인대학교 Yong In University
김성준 Kim Seong Jun
2025 │ Fiction │ 13:11
9.19. Fri 19:00
9.19. - 12.31.
굴, 광어, 고라니에서 인간으로 환생한 평범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인 정민 은 등교를 하던 중 자신이 남들과 똑같은 인생을 살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학교를 빠진 채 바다로 도망치게 된다. 그곳에서 자신의 전생을 마주하고, 인간 정민은 전생과는 다른 선택을 하게 된다. 그리고 자신만의 행복할 수 있는 방법을 깨닫는다.
An ordinary high school senior who was reborn as a human from oysters, flatfish, and elk, Jeong-min, on his way to school, realizes that he is living the same life as everyone else and flees to the sea without school. When faced with his past life there, human Jung-min makes a different choice than his previous life. And he realizes his own way to be happy.
한국의 많은 청년들이 자신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행복할 수 있는 곳으로 떠나야한다는 부적절감을 가지며 살아간다. 이런 부적절감은 어째서 생기는 것일까? 나는 남의 말을 듣고 개인이 잘못됐다는 불안을 느낄 때 생기는 것이라 생각했다. 굴, 광어, 고라니는 우리나라에서는 흔하고 대중적인 것들이지만 해외에선 특별하다. 그렇다면 무조건 인정 받을 수 있는 곳으로 떠나는 것이 옳은 것인가? 남의 말만 듣고 떠난 곳이 과연 낙원일까? 인간으로 환생한 정민이 도망치는 이야기를 통해 그 해답을 얻고자 했다.
Many young people in Korea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lives and live with a sense of inadequacy to leave where they can be happy. Why does this sense of inadequacy arise? I thought that inappropriateness arises when an individual feels anxious that something is wrong after listening to others. Oyster, flatfish, and elk are common and popular in Korea, but special abroad. If so, is it right to leave for a place that can be recognized unconditionally? Is it really paradise that left after listening only to others? I tried to get the answer through the story of Jung-min, who was reborn as a human, running away.
바위, 가위, 보 Rock, Scissors, Paper.
Opening Film
계원예술고등학교 Kaywon High School of Arts
박민주 Park Min Ju
2025 │ Fiction │ 11:06
9.19. Fri 19:00
9.19. - 12.31.
서로의 인연이 끊어지지 않길 바라는 은경과 석훈은 돌멩이 위에 속눈썹을 올려놓거나 가위를 쓸 때 돈을 주고 받는 등의 미신을 수행한다.
하지만 서로에 대한 마음이 들키는 게 부끄러워 같이 중학교에 가고 싶은 마음을 숨기다가 서로를 오해하게 된다.
Eun-kyung and Seok-hoon, who hope that their relationship will not end, perform superstitions such as placing their eyelashes on a stone or exchanging money when using scissors.
However, they are ashamed to reveal their feelings for each other and hide their desire to attend the same junior high school, which leads to misunderstandings between them.
어렸을 적 할머니께서 말씀해주신 미신을 굳게 믿고 자랐던 저는 여전히 돈을 받지 않고 가위를 주면 인연이 끊어진다고 믿습니다.
각자가 생각하는 어린 시절의 미신들을 떠올릴 수 있는 영화를 제작하고 싶었습니다.
I grew up firmly believing in the superstitions my grandmother told me when I was young, and I still believe that if you give someone scissors without receiving money in return, your relationship with that person will be severed.
I wanted to make a movie that would remind people of the superstitions they believed in when they were young.
.

